1. Boot의 소중함 비로소 알게되다!
  • 인텔리제이라는 막강한 IDE의 퍼포먼스로 Boot의 편리함을 배경으로 spring을 배운나는 날것인 spring을 다루게 되었는데……..
    • maven을 통해 dependency 로 편하게 라이브러리를 떙겨 쓰는 방법말고도 jar파일을 받아 프로젝트 설정단에서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해서 사용한다, 특히나 외부API.. Maven을 보통 3버전을 기본값으로 사용해왔는데, Use Maven wrapper로 래퍼클래스에서 maven의 버전을 받아와서 사용한다.
  1. DAO/VO spring boot로 사용하던 mvc패턴에 너무 익숙해진걸까, 아니면 Spring 에서 mybatis를 사용해서 어려운걸까 혼돈스럽다!!! Model/ Service/ controller로 구분되던 구조를 Controller,Service,Dao 구조로 사용하는데, Dao가 어디에도 있고, 어디에든 있다.. Dao는 @Repository (맞나?)를 사용해서 Domain 역활을 하고 Entitiy 선언을 하는 거라 이해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에서는 Resource로 활용되는 dao와 Controller로 구분되는 controller가 존재하고, ServiceImpl, Resource로 활용되는 비즈니스 계층, Service의 내부 로직 수행을 위한 interface와 DAOImpl(이걸안쓰는것같다)을 통해 Entity화하고 interface를 두어 Dao를 핸들링한다. service<->daoimpl간 DI가 존재하고 Sql SessionTemplate를 통해 데이터 활용하고 매 구간마다 D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굴린다.. VO는 언제쓰지? 출처:creamilk88.tistory.com/166